생활의 지혜

왜 "아녀자" 한 사람에게 모든 책임을 지우나

안영도 2017. 2. 27. 09:51


역사는 개인행동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필자가 보기에 한국 언론 중에서

그래도 균형각감을 찾으려 "애쓰는"곳이 있다면

조선일보가 유일하다.


그런데 그 조선일보가

이른바 "헌재의 탄핵 판결"을 코 앞에 둔

2017년 2월 27일 조선일보의 "결론적" 사설은

이렇게 결론내린다.


박 대통령은 설사 탄핵이 기각되더라도 아무 일 없었던 듯 대통령 직무에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나. 리더 십 회복은 불가능할뿐더러 국정 공백과 국가 위기가 더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야권은 탄핵이 되면 권력으로 가는 꽃가마를 탄다고 생각하나. 대선 과정은 물론이고 집권한다 해도 심각한 반발에 직면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나라와 국민을 진정으로 위하는 길이 무엇인지, 헌재 결정 외에 다른 선택은 정말 없는 것인지 대통령부터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첫번째 이상한 점은

일을 이 지경으로 만든  모든 사람들을 제쳐두고

왜 "박 대통령"에게만 책임을 미루나.


물론 대통령 자격이라면 국가지 대사의 책임을 져야 한다.

그렇게 따지더라도  그네(She)는 현재로서는 대통령이 아니다.


둘째, 현재의 이해관계는 "대통령 직무 복귀" 그 자체가 아니다.

정치인 이전에 박근혜라는 개인의 명예가 걸린 일이다.

그 사설은 쓴 논설위원 귀하의 입장이라면 이제와서, 이 시점에서 하야하겠는가?

보통 시민의 상식이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국가의 장래를 보아서라도 헌법재판소는 각하가 아닌 판결을 내려야 한다. 

멀지 않은 과거에 어떤 전직 대통령이 검찰 수사 중에 자살했다.

검찰은 "혐의자의 사망"만을 이유로 그 사건을 덮었다.

그 수사중지는   2017년 2월의 국가적 혼란을 초래한 한 이유가 됐다.

즉, "폐족"이 됐던 세력이 부활하여 혼란 증폭에 앞장 섰다.

사법부의 최종판단이 있었다면 상황은  충분히 다를 수 있다.


그 전직(前職)이나 이 정직(停職)이나

"대통령"이라는 막중한 자리가 관련된 만큼

어떤 일이 있어도 사건을 그냥 덮어서는 안 된다. .

반드시 진위 및 공과를 밝혀서 기록해 두어야 한다.


그 점이 바로 좌파들이 미래보다 앞세우는 역사의 진정한 의미이다.

왜 친일파는 자손만대까지 연좌시켜면서

봉하 주군(主君)의 성과(聖過, 임금이 저지른 잘못)은 덮어야 하나?


넷째, 역사의 흐름은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넜다.

정직 상태의 대통령이 "하야"할 수 있는지 모르지만 그렇더라도 달라질 것은 없다.

어떤 결말이 나든 한국 정치는 향후 10여년에  걸친 대혼란을 피할  수 없다.

이른바 "박 대통령의 하야"가 실현돼도 마찬가지이다. 

지금이 개헌이 가능한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표계산에만 몰두하는 雜龍들을 보면 불문가지, 명약관화.


하지만 위안거리(silver lining)는 있다.

대혼란은  한국 민주주의에 건전한 성장통이 될 수도 있다.



<후기>

바로 다음 날  동아일보 사설

탄핵사유 끝까지 부인한 박 대통령, 헌재 승복 밝히라

아니 문득이도 승복 하지 않는 일을 왜 그네(She)가...

탄핵 기각: 그네가 승복하지 않으면 하야 하리?

탄핵 인용: 승복 안 하면 대통령 하리?


어떤 길냥이 왈: 동아일보는 역시 親文스럽군.....



다음다음날

"文은 뇌물먹고 자살한 사람의 비서실장" 홍준표 발언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