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이 가능해야 선진사회가 된다
노태우 정부 이전까지 국가공휴일에 갑작스런 변화는 없었다.
어느날 원스타 출신의 총무처 장관이 아이디어를 내어 구정을 2일 연휴로 바꿨다.
그 뒤로 휴일은 인기에 영합하는 특정 정권의 마음대로 가감첨삭됐다.
대중 인기에 치중한 대중정부는 시작하자 마자 구정을 3일 연휴로 바꿨다.
대신 신정은 하루 휴일로 줄였다.
그때까지 자리를 잡아가던 신정/ 새해 맞이가 완전히 뒤틀려 졌다.
그래서 대다수 시민들은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를 두번씩 할 수 밖에 없게 됐다.
(필자의 경우는 어쩔 수 없이 신정에서 구정으로 집안 행사를 변경했다.)
그 뒤로 한글날, 어린이날 등이 공휴일에서 들락 날락했다.
박근혜 정부에 와서는 임시공휴일이라는 편법이 동원됐다.
불과 일주일 앞두고 공휴일이 지정돼 모든 시민의 생활을 혼란에 빠뜨렸다.
"민심"을 하늘 같이 여기는 문재인 정부는
출범 첫해 추석을 전후하여 무려 10일간 온갖 국가기관이 문을 닫았다.
아마도 온세계, 온 역사를 통털어 유례가 없을 듯하다.
(한 가지 소득이 있다면 정부가 필요없음을 증명했다는 사실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결국 특정 개인의 마음에 따라 지정않기로 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그런 행태는 있을 수 없다.
공휴일 여부는 전국민의 일상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 일을 행정부 몇몇이 임의로 결정할 수는 없다.
더구나 며칠 앞두고 임시공휴일을 지정하여
개인과 기업의 활동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한국은 소말리아 같은 무질서 국가나 러시아 같은 독재 국가가 아니다.
아무리 대통령이라도 공휴일 결정을 함부로 내려서는 안된다.
선진사회에서는 사인간의 약속이라도 함부로 바꾸지 않는다.
그런 마당에 국가지 대사를 그렇게 함부로 다루는 것이 우리 사회이다.
정말 짜증 나는 일이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권분립 위배" 이전에 히틀러 수법 (0) | 2018.05.05 |
---|---|
"자유"는 "민주"보다 상위개념이다 (0) | 2018.04.19 |
헌법 농단: "그 놈의 헌법"과 "촛불 혁명" (0) | 2018.03.27 |
대한민국은 전체주의 국가가 됐다 (0) | 2017.11.20 |
"민심"을 타면 전직 대통령도 고문하는 나라 (0) | 201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