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

언론이 한글 파괴에 앞장서지는 맙시다

안영도 2023. 12. 27. 08:28

우리 사회의 "자기 당착"

[만물상] 유모차 대신 ‘개모차’ (조선일보)

 

한글에 관한한 앞뒤가 뒤틀린 세상이 됐다.

정치인, 늘공, 언론이 앞장섰기 때문이다.

 

일방, 정치인들은 "한글전용"을 내세워

          한자교육을 폐지했다.

이방, 늘공이 앞장서서

         생활용어로 한자어를 채택한다.

             주변을 돌아보면 한문이 아닌 한자 조합된 이상한 관용어가 판친다. 

             문법, 어법, 상황은 깡그리 무시된다. 

             사고다발, 비산먼지, 무단투기, 살처분, 직진금지, 발사체 발사,

             모유수유, 유치발치, 마약투약, 등등 날이 갈수록 한심해 진다.   

             그에 비하면 MZ 세대의 "블프"는 역대급 우월하다. 

삼방, 정치인들은 언제나 내로남불이다.  

               아마도 초야에 숨어있는 한글학자들은

               "내로남불" 이라는 사자성어를 보면

               기, 귀, nose가 다 막힐 것이다. 

사방, MZ 세대는 한문은 커녕

          한자도 모르지만  한자어는 사용한다.

          대세를 "쫓아서"

          알건 모르건 영자 표현을 사용한다.               

오방, 정치인, 늘공, MZ 세대는

         민생과 약자에는 말로만 "약안 척" 한다. 

             환경 미화사, 구두미화사, 목욕관리사, 간호조무사, 도배사

             "말로만 동정"이 지나쳐 "선출된 동물"도 사람이 됐다. 

육방, 모든 "민생"은 줄임 표현을 좋아한다. 

칠방, "내로남불"이 우리 대~~한민국을 뒤덮어

          말로는 한글을 사랑하지만 

          개 만큼도 대접 하지 않는다. 

               한글이 "먼지도" 모르고, 개는 "반려"의 위치에 올렸다.        

 팔방, 언론은 매스콤이라서

          언제나 매스, 즉 대세를 좇는다. 

          매스콤이다 보니 "아무말"이나 대세로 만든다. 

 

막방, 온갖 "도그 진지" 용어가 난무한다. 

       개모차:  그 어느 기자가 자기 애라 우겨도 개의 엄마가 될 수는 없다. 

       반려묘: 하늘이 무너져도 고양이가 기자의 반려가 될 수는 없다. 

       가성비: 내게는 언제나 모자란 기자가 뭐래도 가성비는 낮은 것이 좋다. 

                   땅이 갈라 져도 "민생"은 높은 것을 좋아한다. 

       당정대: 저 푸른 초원 위에도 "대"라는 직책 혹은 헌법적 기구는 없다. 

       자기당착: 한문이 아니라 한자 조합이다. 

       주요부위: 기자라면 몰라도 "민생"은 신체 일부를 팔지는 않는다. 

       내로남불: 우리글, 한자어, 영문자가 뒤섞여 

                     "한글날에만 자랑스런" 한글을 연수원에 보낸다 해도  

                     "어린 민생이 날로 쓰는" 국어의 미래가 "워리 썸"(worrisome)하다.  

 

       사족(snake 발): 未嘗不, 정치인과 늘공과 MZ기자들은

                                    "워리"가 "도그 언어"임을 모를 것이다. 

                                어쨌건 꼰대들은 라떼에 

                                    "도그 진지"를 "개차반"이라 불렀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1) 2024.12.14
동거인과 반려견  (1) 2024.07.10
어차피 "영대"(영어가 대세)  (1) 2023.12.11
삼성이 왜 텍사스에 공장을 지을까요?  (0) 2022.07.22
문득이 5년  (0) 2022.01.01